AI 중앙사고수습본부는 환경부가 주요 철새 도래지를 중심으로 철새 분포·이동 정보를 방역 활동에 참고할 수 있도록 농식품부와 시·도 등 관계기관에 수시로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AI 관심종인 가창오리 도래 현황의 경우 매일 농식품부, 지자체에 제공해 방역활동에 적극 활용 중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오리·기러기·고니류 위치추적(현재 9종 56개체 추적 중) 현황에 대해서도 관계기관에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AI 중앙사고수습본부는 2일자 뉴스1의 <부처 이기주의로 AI 주범 ‘철새 정보’ 불통…방역 구멍 우려> 제하 기사에 대해 이 같이 해명했다.

 

언론은 철새의 이동 및 서식처에 대한 정보를 정부 부처끼리 서로 공유하지 않아 AI 방역에 구멍이 뚫렸다고 보도했다. 

 

또 환경부 예찰 주요 철새도래지는 전국 30곳이고 농식품부가 관리하는 철새도래지는 37곳이나 중복되는 곳은 11곳 뿐이라고도 언급했다.

 

이에 대해 AI 중앙사고수습본부는 농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는 2015년부터 ‘철새정보 알림 시스템’을 구축 운영 중이라고 밝혔다. 

 

이는 겨울 철새의 도래가 시작되기 전부터 농가가 선제적으로 차단방역을 준비할 수 있도록 철새의 이동 및 서식 관련 정보를 축산관련 단체, 농가에 제공하는 시스템이라고 설명했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환경부 및 농어촌공사로부터 제공받은 철새 도래 및 이동 현황 정보를 종합·분석한 후 철새 주의가 필요한 시기에 지자체·양계협회 등 관련 협회에 ‘철새 주의 경보’를 발령해 일반 농가에 즉시 전파하도록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검역본부가 시기별로 농가에 예비단계, 도래단계, 주의단계 발령 등 시기별로 농가에 문자메시지(SNS)를 발송했다고 말했다. 

 

이번 Ai와 관련 검역본부는 겨울철새 도래 임박시 예비단계 발령(2016년 9월 28일), 겨울철새 도래 확인시 도래단계 발령(2016년 10월 4일), 겨울철새 고병원성 AI 검출시 주의단계 발령(2016년 11월 11일), 야생조류에서 고병원성 AI  추가검출 등 특이사항 발생 시 등 총 22차례 문자를 발송한 바 있다.

 

이와 함께 AI 중앙사고수습본부는 환경부가 철새 예찰지역을 AI 심각단계 격상 이후 35개소에서 66개소로 확대했고 지자체 환경과 협조로 253개소에 대해 추가 예찰하고 있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환경부와 역할을 분담해 37개소 철새도래지와 함께 64개 저수지를 농어촌공사를 통해 예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환경부와 농식품부는 방역상 유의가 필요한 주요 철새도래지의 철새 이동 동향에 대해 실시간 정보를 공유하고 축산단체 및 농가에 정보를 제공하는 한편, 철새 먹이주기 활동, 인근 농가 방역활동 등에 철저를 기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