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뉴스=최영선 기자]국립극장(극장장 안호상) 전속단체 국립무용단(예술감독 김상덕)이 핀란드 안무가 테로 사리넨과 협업한 레퍼토리 ‘회오리(VORTEX)’를 오는 3월 30일부터 4월 1일까지 해오름극장 무대에 올린다.

 

 ‘회오리’는 전통춤을 기반으로 하는 국립무용단의 공연 사진이다.

 

지난 2014년 초연된 ‘회오리’는 전통춤을 기반으로 하는 국립무용단이 1962년 창단 이래 52년 만에 처음으로 해외 안무가와 협업한 작품으로 큰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초연 당시 한국춤의 원형에서 파생된 이국적이면서도 깊이 있는 움직임에 평단과 관객으로부터 호평 받았다.

 

이후 2015년 10월 국내 재공연과 11월 프랑스 칸 댄스 페스티벌 공연을 거치며 국립무용단 대표 레퍼토리로 자리매김했다. 칸 댄스 페스티벌 예술감독 브리지트 르페브르는 부임 후 첫 축제의 개막작으로 ‘회오리’를 선택했다. 그는 “전통을 중시하면서도 다른 것을 받아들이며 재능을 발전시켜 나가는 국립무용단의 시도 자체가 예술적”이라며 “한국의 전통춤이지만 현대성을 바라보는 ‘움직이는 전통’을 가진 작품”이라고 높이 평가하기도 했다.


국립무용단이 최초로 시도한 해외 안무가와의 협업이 이러한 성과를 거둔 것은 안무가 테로 사리넨과 국립무용단이 ‘과거로부터 새로운 것을 만들어낸다’는 공통분모를 지녔기 때문이다. 새로운 작품을 만들기 위해 근원과 전통을 탐구하는 테로 사리넨과 한국무용을 바탕으로 동시대적인 작품을 선보이고자 하는 국립무용단의 지향점이 맞닿은 탁월한 협업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또한 대부분의 서양 춤이 하늘을 지향하고 각을 이루는 성향이 짙은 반면, 테로 사리넨의 움직임은 땅을 지향하는 자연주의적 성향을 갖고 있어 국립무용단의 움직임과 큰 이질감이 없었다. 그는 국립무용단과 협업하는 과정에서도 시종일관 ‘earth(땅)’라는 단어를 외치며 무용수들에게 땅의 기운을 느끼고 땅과 소통할 것을 강조한 바 있다. 근원적이고 본질적인 자연스러움을 추구하는 테로 사리넨은 깊은 호흡으로 발 디딤을 하는 국립무용단 무용수들과 빠르게 교감할 수 있었다.


‘회오리’는 춤뿐만 아니라 무대·조명·의상·음악까지 모든 요소가 모여 거대한 회오리를 일으키는 작품이다. 간결한 검정색 무대와 노란색 댄스플로어, 에리카 투루넨의 모노톤 의상, 미키 쿤투의 조명이 만들어내는 무대는 시작은 잔잔하지만 점점 더 강렬하게 회오리의 이미지를 그려낸다. 마지막으로 음악감독 장영규가 이끄는 비빙의 라이브 음악은 제의적 춤사위에 생동감을 더한다. 특히 ‘회오리’를 위해 새롭게 작곡한 곡들에 비빙의 이전 레퍼토리가 더해져 있어 비빙의 음악 세계를 무용과 함께 즐길 수 있다.


테로 사리넨은 이번 재공연을 위해 작품의 큰 흐름을 유지하면서 장면 연결, 음악과의 호흡 등을 세부적으로 다듬어 선보인다. 이 작품을 통해 독보적인 솔리스트임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준 김미애와 차세대 주역으로 꼽히는 송지영이 더블 캐스팅되었으며, 남자 주역으로 황용천과 이석준이 새롭게 캐스팅되어 젊고 색다른 에너지의 ‘회오리’를 끌어낼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국립무용단은 공연에 앞서 관객 참여 프로그램인 ‘오픈 리허설’을 3월 17일 오후 8시 국립무용단 리허설룸(뜰아래 연습장)에서 개최한다. 오픈 리허설은 공연의 하이라이트 장면 시연, 무용수와의 대화, 주요 장면을 배워보는 시간 등으로 꾸며진다.

                                             
장르의 벽을 뛰어넘은 성공적인 협업, ‘진화하는 전통’을 제시한 국립무용단
‘회오리’는 국립무용단 창단 이래 최초로 해외 안무가와 과감한 협업을 시도, 한국무용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통해 다양한 해체와 변화가 가능한 ‘진화하는 전통’으로서의 한국무용을 보여준 작품이다.

 

1962년 창단 후 50여 년 간 서사적이고 극적인 스토리텔링 형식의 신(新)무용극을 정립하며 한국무용 역사의 한 축을 맡아 왔던 국립무용단은 2012년 시즌제 도입 이후 새로운 스타일의 한국춤 찾기를 지속적으로 시도하고 있다. 현대무용가 안성수와 패션디자이너 정구호가 함께한 ‘단(壇)’(2013), 전통이 가장 모던한 현재가 될 수 있음을 입증한 ‘묵향’(2013)과 ‘향연’(2015) 등 다양한 작품들을 발표하며 한국무용의 스펙트럼을 넓혀왔다.

 

그중 해외 안무가와 협업한 두 개의 작품, 핀란드 출신 테로 사리넨의 ‘회오리’(2014)와 프랑스 출신 조세 몽탈보의 ‘시간의 나이’(2016)를 연이어 성공시키며 한국무용에 기반을 둔 실험과 협업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회오리’는 초연 당시 우려와 달리 한국무용의 움직임과 테로 사리넨 특유의 자연주의적 성향이 잘 어우러졌다는 평을 받으며 높은 완성도의 결과물을 이끌어냈다. 이후 2015년 10월 국내 재공연과 11월 프랑스 칸 댄스 페스티벌 공연을 거쳐 2017년 재공연에 이르기까지 국립무용단 대표 레퍼토리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칸 댄스 페스티벌 예술감독 브리지트 르페브르는 부임 후 첫 축제의 개막작으로 ‘회오리’를 선택했다. 그는 “전통을 중시하면서도 다른 것을 받아들이며 재능을 발전시켜 나가는 국립무용단의 시도 자체가 예술적”이라며 “한국의 전통춤이지만 현대성을 바라보는 ‘움직이는 전통’을 가진 작품”이라고 높이 평가하기도 했다.

 

자연의 원리를 춤으로 담아내는 안무가 테로 사리넨과 국립무용단의 탁월한 조화
핀란드 출신의 현대무용 안무가와의 협업에서 서로의 움직임에 대한 이질감이 없었던 이유는 대부분의 서양 춤이 하늘을 지향하고 각을 이루는 성향이 짙은 반면, 테로 사리넨의 움직임은 땅을 지향하는 성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국립무용단과 협업하는 과정에서도 시종일관 ‘earth(땅)’라는 단어를 외치며 무용수들에게 땅의 기운을 느끼고 땅과 소통할 것을 강조한 바 있다.

 

근원적이고 본질적인 자연스러움을 추구하는 테로 사리넨이 깊은 호흡으로 발 디딤을 하는 국립무용단 무용수들과 빠르게 교감할 수 있었던 것도 바로 그의 자연주의적 성향 덕분이었다. 한국무용의 많은 춤사위가 자연에서 영감을 얻어서 만들어졌듯이 테로 사리넨은 자신의 안무 또한 “무한하게 변화하는 이 세상의 동식물로부터 영감을 얻는다. 모든 상징은 자연에서 찾을 수 있다”라고 전한다. 조안무로 참여하고 있는 국립무용단 수석 단원 김미애는 “테로 사리넨은 정중동을 중시하는 한국춤의 원리를 누구보다 잘 이해하고 있다”라고 했을 만큼 테로 사리넨의 안무 메소드와 한국춤의 특징이 잘 맞아떨어졌다.


테로 사리넨은 자신을 “고대와 원시로 돌아가 자연을 이야기하는 안무가”라고 소개하는 만큼 그의 자연주의적 철학은 작품에서도 드러난다. 테로 사리넨은 ‘회오리’를 총 3장으로 구성, 자연의 이미지를 형상화하여 자신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조류’를 형상화한 1장은 남녀 군무를 통해 서로 대비되는 두 에너지의 흐름을 보여주고, 2장 ‘전파’는 4인무·2인무를 중심으로 조상들로부터 내려온 지식의 전수와 전파를 통해 인류의 근원을 탐구한다. 3장 ‘회오리’는 자연과 근원의 이해를 통한 인류의 도약과 전진을 화려한 피날레로 풀어낸다.

 

2015년 ‘회오리’ 공연당시, 송지영․황용천 등 새로운 주역 투입으로 신선한 에너지를 불어넣다.‘회오리’는 초연 당시 25명의 무용수를 기용해 대극장인 해오름극장 무대를 꽉 채우는 안무를 선보임으로써, 대부분 50여 명의 전단원이 출연했던 기존 작품들과 달리 적은 인원수로도 해오름 무대를 꽉 채울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작품이기도 하다. 이후 ‘묵향’(27명), ‘시간의 나이’(24명) 등 20여 명 규모의 레퍼토리들이 제작되었고, 무용수의 규모가 작품의 완성도를 결정하는 것이 아님을 입증했다. ‘회오리’는 2015년 국내 재공연과 칸 댄스 페스티벌 공연을 거치면서 현재 19명의 무용수가 출연한다.


‘회오리’의 1장 ‘조류’에서는 에너지의 흐름을 주도하며 작품 전체를 이끄는 ‘블랙’ 남녀와 또 다른 에너지를 대변하는 ‘화이트’ 남녀, 그리고 두 커플의 매개자 등 총 5개의 주요 캐릭터가 등장한다. 블랙 남녀는 작품 전체의 흐름을 주도하기 때문에 작품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작품의 시작을 알리는 여자 블랙은 가장 존재감이 두드러진다.

 

초연부터 여자 블랙을 맡아온 김미애는 이 작품을 통해 독보적인 솔리스트임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준 바 있다. 이 역할에 차세대 주역으로 꼽히는 송지영이 더블 캐스팅되어 신선한 색깔의 무대를 선보일 예정이다. 남자 블랙 역할에는 지난해 ‘Soul, 해바라기’에서 주역으로 존재감을 드러냈던 황용천이 새롭게 캐스팅되었다. 이석준과 박혜지는 각각 화이트 남녀를 맡는다.

 

특히 이석준은 초연 당시 군무로 참여했다가, 칸 댄스 페스티벌 공연 직전 부상을 당한 기존 무용수 대신 급작스럽게 주역을 맡아 훌륭한 무대를 선보여 테로 사리넨으로부터 ‘성장이 놀랍다’는 평가를 받았다. 초연부터 주역으로 참여하고 있는 박혜지와 송설은 작품의 중심을 잡아주며, 조용진․이요음 등 국립무용단의 젊은 무용수들이 일부 신규 투입되어 보다 신선한 에너지의 ‘회오리’를 기대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