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뉴스=김수영 기자]휴대폰시장에서 기대했던 도매대가 인하에도 알뜰폰 업계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현재 휴대폰시장에서 인하 폭이 애초 예상치에 미치지 못한 데다 25% 요금할인 후폭풍까지 겹치며 돌파구를 찾기 힘든 상황이다. 14일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에 따르면 지난달 알뜰폰 가입자의 이탈 현상은 한층 심해졌다고밝혔다.

알뜰폰 상담창구에서 가입안내를 하고있는 모습.

 

지난 9월에는 알뜰폰에서 이통 3사로 옮겨간 고객이 유입 고객보다 366명 많았고, 10월에는 1천648명으로 격차가 더욱 널어났다.

 

올해 1분기까지만 해도 이통사에서 알뜰폰으로 유입된 고객이 이탈 고객보다 2만명 이상 많았지만 2분기부터 급감하기 시작해 7월에는 처음으로 이탈 고객이 유입 고객을 추월했다. 8월 잠시 유입 고객이 앞섰지만 9월부터 다시 역전됐다.

 

9월 들어 25% 요금할인과 갤럭시노트8 등 프리미엄폰의 잇단 출시가 악재가 된 것으로 분석된다.그나마 기대를 걸었던 도매대가 인하마저 기대에 미치지 못하자 알뜰폰 업계의 위기감은 더욱 커졌다.

 

도매대가는 알뜰폰이 이통사에 망을 빌리는 대가로 지불하는 금액으로 정부와 망 의무제공 사업자인 SK텔레콤[017670]이 매년 협상을 거쳐 결정한다.

 

협상 결과 양측은 LTE 정액요금제(데이터 요금제)의 수익배분 도매대가 비율을 전년 대비 평균 7.2%포인트 인하했다. 애초 목표치 10%포인트보다 낮다.

 

정부는 도매대가 인하 효과를 연간 300억원 수준으로 추정했다. 이통사로서는 그만큼 수익이 줄어드는 셈이지만, 증권가에서는 실제 타격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한국투자증권 양종인 연구원'은 "알뜰폰 전체 가입자 증가로 올해 망 도매대가 절대 규모의 감소 폭은 미미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알뜰폰 업계는 실망스러운 분위기다. 특히 이용자가 빠르게 느는 고가 요금제에서의 인하 폭이 적다는 점을 우려한다. 데이터 11GB 이상요금제의 경우 인하율은 1.3∼3.3%포인트에 불과했다.

 

더욱이 예년에는 기본료를 빼고 인하율을 산정했지만, 올해는 기본료 폐지분을 인하율에 포함해 실제 인하율은 더 적다는 지적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월 수천원의 기본료 폐지분을 제외하면 고가 요금제의 도매대가는 거의 인하되지 않았다"라며 "2G와 3G에 적용되는 단위당 종량도매대가 인하 폭도 예년과 비슷해 큰 효과를 기대하기 힘든 실정"이라고 말했다.

 

알뜰폰은 2011년 출범 후 적자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누적 영업 손실 규모는 3천309억원에 달한다.업체의 경영난은 고객 피해로 이어지고 있다. 이지모바일은 최근 경영난으로 고객센터 통화 연결이 원활치 못해 이용자의 원성을 샀다.

 

SK텔링크 등 대형 업체들도 브랜드 이름을 개편하고, 변화를 꾀하고 있지만, 시장 전망은 여전히 어둡다.

보편요금제마저 도입되면 대다수 중소업체는 직격탄을 피하기 힘들 전망이다.

 

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 관계자는 "추가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우선 사회적 논의기구(가계통신비 정책협의회)에서 알뜰폰 활성화 방안을 함께 논의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